게릿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 역사
      • 자기개발
  • 홈
  • 태그
  • 방명록
역사

우리나라 가신 신앙 그 형태 및 특징 고찰

1. 가신 신앙의 성격 가신신앙이란 공간적으로 집안에 존재하는 신적 존재들에 대한 신앙이다. 따라서 그것은 가정 단위의 신앙이지만 유교적인 제례와는 전혀 갈래가 다르다. 성격상으로도 유교제례는 남성들이 주가 되고 형식성 이념성 논리성 등의 특징을 지니는데 비해서 가신신앙은 주부가 담당자가 되며 소박하고 현실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신신앙은 무속이나 동제등과 같이 원초 이래로 점차 자연히 발생하여 전승되어 온 민간신앙의 한 갈래이다. 이러한 민간신앙은 기성종교와는 달라서 교주나 창시자가 없고 교리나 경전 교단조직이 희박하며 각별한 윤리관의 강조도 적고 논리적인 구분 의식도 많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특히 가신 신앙의 신관은 다신 다려 교적인 성격을 띠는데 이것은 가신신앙과 무속신앙 그..

2023. 1. 15. 19:37
역사

한국의 민간 신앙 그 역사적 배경 지식

솟대와 장승이 있는 마을 마을과 마을 사이의 고개에는 성황당, 속칭 서낭당이 있어 신목과 돌무더기를 쌓아놓은 성스러운 곳을 발견하게 됩니다. 즉, 마을의 경계가 되는 곳이나 중심지에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는 곳이 있습니다. 그 신을 모시는 형태는 나무와 돌로 상징하여 성스러운 곳이라는 것을 표현합니다. 한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모시는 신이 있고, 이 신에 대한 공동의 제의를 통해 더욱 마을 사람들은 '우리'라는 의식을 강화한다. 어떤 간단한 신당의 경우에는 평소에는 아무런 흔적도 없다가 젯날이 가까워지면 정결하게 청소를 한 다음에 금줄을 치고 성스러운 장소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내는 곳도 있습니다. 제사가 끝나면 다시 일상적인 상태로 돌아옵니다. 그런데 어떤 곳에서는 신목과 돌무더기는 물론 신당도 있고 또..

2023. 1. 14. 20:00
역사

한국의 역사 신앙 문화인 동제의 기능과 의의

마을의 구심점인 심리적 단합과 유대 동제는 재앙과 질병으로부터 벗어나 건강하고 풍요로워지기 위한 공동제의여서 마을 사람들은 동제를 통하여 심리적 균형을 유지하고 불안을 해소하며 건강과 풍요를 누릴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진다고 한다. 마을 생활을 가족과 친족관계 그리고 제사 등을 통하여 결속되기도 하고 분화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분열이나 결합은 마을 사람들 자신이 만들어가는 것이다. 곧 마을 공동체 신앙이란 같은 마을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믿음의 형태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동제라는 구체적인 제의를 통해서 종교 행사로 수행된다. 동제는 결국 마을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생활의 위협이 되는 재해를 면하고 행복을 추구하기 위하여 마을의 신에게 마음을 합쳐서 지내는 제사 이기도 하며 향토적 연중행사의 하나..

2023. 1. 14. 18:35
  • «
  • 1
  • ···
  • 4
  • 5
  • 6
  • 7
  • »
반응형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게릿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