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신 신앙의 성격
가신신앙이란 공간적으로 집안에 존재하는 신적 존재들에 대한 신앙이다. 따라서 그것은 가정 단위의 신앙이지만 유교적인 제례와는 전혀 갈래가 다르다. 성격상으로도 유교제례는 남성들이 주가 되고 형식성 이념성 논리성 등의 특징을 지니는데 비해서 가신신앙은 주부가 담당자가 되며 소박하고 현실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신신앙은 무속이나 동제등과 같이 원초 이래로 점차 자연히 발생하여 전승되어 온 민간신앙의 한 갈래이다. 이러한 민간신앙은 기성종교와는 달라서 교주나 창시자가 없고 교리나 경전 교단조직이 희박하며 각별한 윤리관의 강조도 적고 논리적인 구분 의식도 많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특히 가신 신앙의 신관은 다신 다려 교적인 성격을 띠는데 이것은 가신신앙과 무속신앙 그리고 동제를 비롯한 마을신앙이 모두 기본 성격으로 공유하는 점이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혼합되어서 구분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를테면 주요한 가신인 조상신이나 성주 터주 등은 그대로 그것이 굿의 주요한 순서인 조상거리 성주거리 대감거리의 신들이 된다.
조왕이나 삼신도 주요한 가신인데 호남지방의 굿은 조왕굿에서부터 본격화되고 제주지방의 굿에서는 삼신을 모시는 불도맞이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가신신앙의 성격은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전제할 수 있다. 첫째 가정 단위가 신앙 대상으로 한정된다. 둘째 한 가정의 생활공간을 신앙장소의 범위와 한계로 한다. 셋째 주로 주부가 그 사제가 된다. 그리고 위의 조건을 전제로 다음과 같이 가정 내 공간에 따라 가신 신앙을 구분할 수 있다.
안방을 주로 한 조상령 안방을 주로 한 삼신 마루를 주로 한 성주신 부엌의 조왕신 뒤꼍의 택지신 뒤꼍의 재물신 출입구의 문신 뒷간의 변소신 우물과 샘의 용신 안택과 고사 기타 신앙형태이다.
2. 가신앙의 형태와 그 특징
우리나라 전통적인 민간 신앙에서 행해져 온 조령신앙은 원래 유교적인 조상 숭배와는 별개의 것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유교적 조상숭배의 그늘에 가려서 지금은 거의 소멸 상태에 이르렀고 또한 지난날의 기록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다만 단편적인 기록과 최근의 민속조사를 통하여 조령신앙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볼 수 있다.
조령신앙의 역사는 신라의 시조신 김알지의 신화에 나오는 황금상자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김알지는 경주 계림의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는 황금 궤짝에서 닭 울음소리가 울리는 새벽에 탄생했다는 신화가 전한다. 이것은 오늘날 호남 지발에서 조령신 신체로 모시는 제석오가리와 영남 지방의 세존단지나 조상당세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때 고대 왕가의 조령신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도 호남 지방에서는 제석오가리라는 오지그릇 항아리를 종손이나 장남의 집 방안 또는 마루에 모시는 사례를 볼 수 있는데, 그 안에는 추수한 햅쌀을 넣는다.
이와 같이 조상 단지라고 불리는 신체는 전국적으로 분포하였다. 그 신격은 조상의 영혼이라 하기도 하고 또 곳에 따라서는 성주와 조상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신을 모시는 것은 가내의 평안과 풍작 및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기 위함이다.
조령 신앙의 신체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조그만 단지에 쌀을 가득 채워 넣고 한지로 그 입구를 봉한 다음 안방의 어느 곳에 안치한 형태의 것이다. 단지 속의 쌀은 햇곡이 나면 햇곡으로 바꾸어 넣는다.
둘째는 곡식 3되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주머니를 만들어 거기에 쌀을 가득 넣어 안방 벽에 걸어 놓는 형태의 것이다. 물론 이 주머니의 쌀도 햇곡이 나면 바꾸어 넣는다. 셋째는 호남의 일부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석짝(뚜껑이 있는 대바구니) 속에 할아버지 할머니의 성명을 기록한 한지를 넣어 성주머리에 안치하는 것이 있다. 신을 안치하는 곳은 전국적으로 안방이라는 공통성을 보이고 있다. 제사드리는 날은 전국적으로 일정하지 않다. 흔히 정월보름 유월유두 팔월보름 기타 맛있는 음식을 장만했을 때마다 신체 앞에 음식을 차려 놓는다. 또 조산의 제일이나 명절에 제물을 바쳐놓는 곳도 있다. 어떤 곳에서는 7월 7일 아침에 단지나 주머니의 쌀로 밥을 짓고 미역국을 끓여 바치기도 한다.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 주택의 특성과 한옥의 주 생활 (0) | 2023.01.17 |
---|---|
민족적 성향이 강한 한옥 특징의 발견 (0) | 2023.01.16 |
옛 한국인들의 대표 격인 주거지 고찰 (0) | 2023.01.16 |
한국의 민간 신앙 그 역사적 배경 지식 (0) | 2023.01.14 |
한국의 역사 신앙 문화인 동제의 기능과 의의 (0)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