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 / 2023. 1. 14. 18:35

한국의 역사 신앙 문화인 동제의 기능과 의의

반응형

신앙 문화인 행운을 기원하는 돌무더기

마을의 구심점인 심리적 단합과 유대

동제는 재앙과 질병으로부터 벗어나 건강하고 풍요로워지기 위한 공동제의여서 마을 사람들은 동제를 통하여 심리적 균형을 유지하고 불안을 해소하며 건강과 풍요를 누릴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진다고 한다. 마을 생활을 가족과 친족관계 그리고 제사 등을 통하여 결속되기도 하고 분화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분열이나 결합은 마을 사람들 자신이 만들어가는 것이다.

곧 마을 공동체 신앙이란 같은 마을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 공유하는 믿음의 형태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동제라는 구체적인 제의를 통해서 종교 행사로 수행된다. 동제는 결국 마을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생활의 위협이 되는 재해를 면하고 행복을 추구하기 위하여 마을의 신에게 마음을 합쳐서 지내는 제사 이기도 하며 향토적 연중행사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것은 마을이라는 사회 공동체 또는 생활 공동체를 바탕으로 하여 행해지는 의례라고 간단히 말할 수 있으며 그런 뜻에서 마을은 하나의 종교 공동체이다.

 

신앙의 축제적 성격

동제의 제라는 말은 어원상 신에게 술과 고기를 바친다는 뜻이다. 본해 종교적인 의례였으나 축제의 뜻으로도 사용되었다. 동제는 마을과 제의를 결합시킨 것으로 마을 공동체가 단위가 되어 행하는 주기성이 있는 연례적 종교적 의례이다. 전통의 소산 가운데서도 특히 다른 것으로부터 영향받지 않은 것이 향토에서 지켜져 오고 있는 정신적 행사 중 신을 모시는 행사인 마을 신앙이다. 이러한 마을 신앙 중에서 가장 사회적이고 공동적인 것으로 동제이다.

생활 개선이든 경제 개발이든 사회적으로 함께하지 않으면 그 성과를 제대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농촌 진흥을 위한 정신 개발에 필요한 마음 밭을 인식하기 위하여는 사회공동성이 아주 짙은 마을 신앙 동제를 살펴봄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지금까지 사람들은 조선의 동제를 거의 돌아보지 않았다. 20~30년 전까지만 해도 동제를 상당히 성대하게 개최했던 곳도 있었고 동제의 존재도 꽤 잘 알려져 있었다. 그 후 혁신의 추세에 눌려서 그 규모가 작아졌고 제사 지내는 시간도 한밤중이 되었다. 그러므로 사람들의 주목을 끌 수 없게 되었다. 또 기독교 신자와 일부 몽매한 청년들이 이를 고루한 미신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마을민들도 점차 그 제의를 숨기고 그것에 대하여 말하기조차 꺼려서 드디어는 오늘과 같이 동제가 있는지 없는지조차 알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규모가 축소되었다고는 하지만 지금도 동제가 전국에 걸쳐 많이 행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한 번도 돌아보지 않았던 사람도 그 분포 지역이 넓고 수도 많은 것을 알면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또 동제에는 많은 사회 공동적 정신이 흐르고 있으며 아름다운 전통문화가 보유되어 있다. 동제를 잘 지내고 있는 마을이 전체적으로 건전한 마을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동제에 대한 견해를 고치고 그 인식을 제대로 할 필요성을 느낄 것이다.

 

동제의 원리와 제사 조직

동제는 일부 특정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마을의 모든 사람뿐만 아니라 동식물과 삼라만상을 위한 제사이다. 마을 사람들은 제사의 의무와 권리를 가지고 있다. 또 마을 사람 전부에게 동제의 의무와 권리가 있다고 하여서 마을 사람 전부가 제사를 지내는 제관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어떤 특수한 개인이나 집단이 이를 독점하는 것도 아니다. 문중제가 동제를 겸할 가능성이 없지 않으나 동제는 자연의 원리에 의한 것이고 문중제는 혈연에 의한 것이다.

동제는 마을의 전체적인 조직과 관련된다. 제관을 정하고 제사를 진행하는 데 있어서 노인회가 중심을 이루는 경우가 있고 동제의 경비나 접대 등에서 청년회가 중심이 되는 경우가 있다. 동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제관에 관한 것과 제사의 진행은 노인회가 중심이 된다. 그리고 제사 비용을 마련하고 경제적 지원을 위하여 어촌계나 동계등이 중심이 되며 음식을 만드는 일 등은 부인회가 중심이 된다. 또 안내나 경비를 청년회 또는 예비군들이 중심이 되어 마을의 많은 조직이 참가하게 된다. 그리고 어떤 하나의 조직이 중심이 되어 동제를 지낸다고 하여도 그것은 전체적인 차원에서 의미를 갖는 것이지 그 조직만의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